교환 분배법칙

월간 향유회 2023. 12. · Arena #15 B번 heeda0528

식을 정리해봅시다.

a+(b×c)=(a+b)×(a+c)a + (b \times c) = (a + b) \times (a + c).

a+bc=a2+ab+ac+bca + b c = a^2 + a b + a c + b c.

a=a2+ab+aca = a^2 + a b + a c.

a(a+b+c1)=0a(a + b + c - 1) = 0.

따라서 a=0a = 0 이거나 a+b+c=1a + b + c = 1 이라면 식이 성립합니다.

a=0a = 0 일 때는 모든 bb, cc에 대해 성립하므로 가능한 쌍이 (2N+1)2(2N+1)^2개입니다.

a+b+c=1a + b + c = 1 일 때는 아무 두 변수의 값을 고정하고 식을 만족하는 다른 한 변수의 값이 범위 내에 들어오는지 확인하면서 이중 포문을 돌면 됩니다.

이중 포문 내에서 a=0a = 0 일 때의 예외 처리가 필요합니다.

전체 시간복잡도는 cal(O)(N2)cal(O)(N^2)입니다.